‘큰손’ 외국계기관도 비판 합류
양태영(왼쪽에서 네 번째)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이 26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기자실에서 열린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관련된 기자들의 질의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제공] |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란 야심찬 목표를 두고 공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가 발표와 동시에 시장의 혹평에 휩싸였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즉각 해명하고 이틀 만에 ‘조기 종목 변경’ 카드까지 꺼내 들며 정면돌파에 나섰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전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각계 전문가 의견과 향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추이 등을 감안해 올해 내 구성 종목을 변경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밸류업 지수의 구성 종목과 선정 기준을 발표한 지 불과 이틀 만에 종목을 바꿀 가능성을 열어두겠단 강수를 던진 것은 일부 종목의 편입·편출이 시장이 예상했던 기준에서 어긋났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의혹과 불만이 제기되면서다.
시장에선 대표적인 저(低) 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이자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을 펼쳐온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가 밸류업 지수 편입에 실패한 것에 가장 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날 거래소는 “KB금융지주는 자기자본이익률(ROE), 하나금융지주는 PBR 요건에 미달했다. 주주환원 등 요건이 우수하더라도 다른 질적 요건이 미흡하면 편입되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시장에선 다른 편입 종목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납득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작년 적자를 기록하며 수익성 요건을 충족 못한 SK하이닉스가 지수에 편입되고, 대표 고배당주인 KT 등 통신주가 빠진 것을 두고도 거래소는 형평성 논란을 피해 갈 수 없었다.
간담회에 참석한 양태영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밸류업 지수 개발의 주요 목적은 저평가-고배당 기업을 발굴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 지표가 우수한 기업으로 지수를 구성해 한국 증시 전반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애초 거래소가 연 1회 실시될 예정이던 정기 리밸런싱(구성종목 변경) 시점인 내년 6월에 앞서 연내 추가 시행에 나선다는 것을 두고 학계와 시장에선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학계에선 시장 참가자들의 비판에 귀를 기울이고 신속하게 변화하려는 모습에 점수를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오는 11월 중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되는 만큼 최대한 빠르게 수정 사항을 지수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로 밸류업 지수 추종 ETF를 출시, 운영하게 될 자산운용업계에선 걱정이 앞선다.
국내 자산운용사 고위 관계자는 “‘시장 대표성(시총 규모)’에 너무 큰 방점을 둔 나머지 방법론상 포함해선 안되는 종목까지 편입해 비판을 자초했다”면서 “지수가 공식적으로 발표되기도 전부터 리밸런싱을 언급하는 자체가 지수 신뢰도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출범 초기부터 흔들리고 있는 밸류업 지수를 두고 외국 큰손 투자자들은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홍콩계 증권사 CLSA는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대해 ‘밸류 다운?’이라는 제목의 논평 보고서를 통해 “지수 구성이 바뀌지 않으면 향후 출시될 ETF에 흘러갈 자금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비판했다.
한 외국계 자산운용사 고위 관계자는 “큰 변동성으로 인해 밸류업 지수에 대한 신뢰성에 금이 가는 것도 문제지만, 기존 대표 지수와 차별성이 없다는 게 더 큰 문제”라면서 “관련 ETF가 출시해도 현재 구성 종목과 선정 기준과 실제 적용 사례 등에 대한 의문이 계속 이어지는 만큼 외국계 자금으로선 적극 투자에 나서기엔 리스크가 크다고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신동윤·유혜림·유동현·김민지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