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동훈·오세훈 연이은 대립각[이런정치]
‘직구 논쟁’에 이어 ‘지구당 입장차’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연이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정부의 ‘직구 규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로 부딪혔던 두 사람은 ‘지구당 부활’ 문제를 놓고 다시한번 입장차를 확인했다. 여권의 잠재적 대권 주자 사이에서 ‘정책관’의 차이가 구체적인 사안별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 현안으로 떠오른 지구당 부활 논쟁은 사실상 한 전 위원장이 불을 붙였다. 한 전 위원장이 최근 총선 당선·낙선인들을 만나 지구당 부활 필요성을 언급했다는 발언이 알려지면서 여야 유력 정치인들이 지구당 부활에 대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지구당 부활 논쟁이 활발히 벌어지자 한 전 위원장은 공개적으로 지구당 부활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페이스북에 “‘차떼기’가 만연했던 20년 전에는 지구당 폐지가 정치개혁이었다”며 “지금은 기득권의 벽을 깨고 정치 신인과 청년들이 현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지구당을 부활하는 것이 정치개혁이라고 생각한다”고 썼다.

한 전 위원장의 공개 입장이 나온 다음 날 오 시장은 지구당 부활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오 시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원외 정치인들이 겪는 어려움이나 형평성 문제를 알기 때문에 지난 며칠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며 “그러나 여야가 함께 이룩했던 개혁이 어긋난 방향으로 퇴보하려는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려 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지구당은 국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극 제왕적 당대표를 강화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오세훈 서울시장. 임세준 기자

앞서 한 전 위원장과 오 시장은 정부의 직구 규제 정책에 대해서도 입장차를 보였다. 한 전 위원장은 ‘소비자 선택권’을, 오 시장은 ‘시민 안전’이라는 가치관에 무게를 두며 상반된 정책관을 드러냈다.

한 전 위원장은 직구 규제와 관련해 “공익을 위해 꼭 필요하다면 시민의 선택권을 제한할 수도 있지만 불가피하게 시민의 선택권을 제한할 때는 최소한도 내에서 정교해야 하고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오 시장은 “(해외직구에서) 유해물질 범벅 어린이 용품이 넘쳐나고 500원 숄더백, 600원 목걸이가 나와 기업 고사가 현실이 된 상황에서 정부가 손놓고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문제”라며 “마치 정부 정책 전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하는 것은 여당 중진으로서의 처신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